Hash Table에 대해서 완전 자세하게 알아보자.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여 조회,삽입,삭제 모두 O(1)
안에 수행하기 위한 특별한 자료구조다. 배열의 인덱스를 유일하게(혹은 그에 가깝게) 지정하기 위해서 데이터와 연관된 고유한 숫자를 만들어낸 후 그것을 인덱스로 사용한다.
또 일반적으로 순서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순서, 관계가 있는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Hash function
데이터에 연관된 고유한 값을 만들기 위해서 해시 함수를 사용한다. 이 해시 함수를 통해서 나온 결과값을 해시 값(혹은 해쉬 코드,해쉬)라고 하고 이것을 이용해 데이터에 대한 접근 연산을 수행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해시 함수는 나머지 연산(modulo)를 이용한다. 키 k
를 어떤 정해진 수 D
로 나눈 나머지를 k
를 저장하는 버킷의 인덱스로 사용하는 것이다.
→ h(k)=k
일반적으로 D
는 적절히 큰 소수(prime number)를 사용하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D를 소수가 아닌 값이라 하면, D의 모든 약수는 자신의 배수가 곧 키값이 된다. 해시충돌이 많이 일어나는것이다.
만약 이 해시 함수가 엄밀하지 못해서 여러개의 객체가 서로 같은 값을 가지게 된다면 이것을 해시 충돌(hash collision)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우에서 가능한 키들의 집합을 U
라고 하고, 버킷들의 개수를 m
이라고 할때 U>>m
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충돌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버킷의 사이즈를 단순히 키우는것은 좋은 해결책이 아니다. 메모리 사용량에서 치명적이다.
좋은 해시 함수를 고안해도, 여전히 해시 충돌은 불가피하다. 해시충돌이 늘어나게되면 O(1)
의 시간복잡도 장점을 잃어버리고 O(n)
에 가깝게 되니, 적절한 해결책을 세워야 한다.
Open Addressing
개방주소법(Open Addressing)은 간단히 말해서 해시충돌이 발생하면(계산된 인덱스로 접근한 버킷이 이미 사용중이면) 단순히 다른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개방주소법 안에서도 여러개로 나뉜다.
- Linear Probing
- 계산된 해시값에서 해시충돌이 발생한다면, 고정폭만큼 건너뛰어 비어있는 해시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만약 그 자리에도 차있다면, 그 다음 고정폭의 위치를 탐색한다.
- 이 방법은 단순해서 계산을 하기 쉽지만, 최악의 경우 탐색을 시작한 위치까지 돌아오게 되어 종료할 수 있다.
O(n)
이 걸리는 것이다. - 또 primary clustering이라는 특정 해쉬 값 슬롯 근처에 값들이 뭉치게 되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x
라는 해쉬 값을 공유하는 객체들이x+1,x+2,x+3
등으로 모이기 때문이다. - 클러스터의 크기가 커질수록, 비슷한 해쉬값들이 적절히 배치되지 못하고 다음을 probing하니 클러스터가 더 빠르게 자라나고*, 이는 성능적으로 이슈를 불러일으킨다.
- 다만 값들이 클러스터링 되어있기 때문에 cache hit 적인 측면에서는 유리하다. 처음 키에 대해서 접근을 하면 다음 키도 캐쉬에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 Quadratic Probing
- Linear Probing과 비슷하게 , 해시충돌이 발생한다면 다음 슬롯을 찾는다. 다른 점은
idx=(hash(key)+i^2) mod m
의 꼴을 취하는 것이다. - 이 방법도 primary clustering보다는 덜 하지만 성능에 영향을 주는 secondary clustering 문제를 일으킨다.
- 초기 hash 포지션이 아닌 좀 더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것이다.
- Linear Probing과 비슷하게 , 해시충돌이 발생한다면 다음 슬롯을 찾는다. 다른 점은
- Double hashing
- 이름 그대로 해시 충돌이 생기면, 2차 해시함수를 이용해서 다시 해시를 하는 방법.
- 값이 퍼지게 되어서 캐쉬의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고 연산량이 많이 들지만, 클러스터링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장점과 단점
이처럼 개방주소법 내에서도 여러가지 충돌 처리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개방주소법은 적은 양의 데이터에는 효과를 보이고 메모리 효율도 분리연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고, 메모리 할당에 대한 오버헤드도 없는 편이다.
또 일반적으로 연결리스트를 사용하는 분리연결법에 비하여 캐쉬 효율이 좋기 때문에 (특히 Linear Probing) Python에서 hashtable을 구현할때 사용된다.
하지만 데이터의 삭제에서 좋지 않은 퍼포먼스를 보인다.
예를 들어 A,B,C
가 연속적으로 있을때(linear probing) A
를 삭제한다고 해보자. 그럼 NULL,B,C
라고 변경될텐데, 이때 C
에 대해서 조회를 한다면, NULL
을 만나게 된다. 이것을 원래부터 비어있는 공간인지 혹은 삭제되어서 비어있는 공간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C
를 조회하지 못하고 탐색이 종료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삭제된 공간은 삭제되었음을 표시해주는 DEL
같은 표기자를 사용해 다음 index를 조회할수 있게끔 해야한다.
물론 이러한 DEL
표시자가 늘어난다면, 조회할 데이터가 없어도 계속적인 탐색을 수행해줘야 하니 표시자의 개수에 따라 해시테이블 전체에 대해서 rehashing을 해줘야 한다.
load factor를 l
이라고 하였을때 삽입과 조회, 삭제 모두 O(\frac{1}{1-l})
의 성능을 보여준다.
Seperate Chaining
분리연결법(Separate Chaining)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개방주소법보다는 빠른데, 개방주소법의 경우 load factor가 커질수록 최악의 경우( O(n)
)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분리연결법은 해시충돌이 잘 발생하지 않게끔 하기 위해서 보조 해시 함수를 이용해 최악의 경우로 가는 상황을 줄이려고 한다.
분리연결법에도 두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 Linked List
- 각각의 버킷들을 연결리스트로 두어 충돌이 발생하면 해당 버킷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식.
- 단, 연결리스트의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메모리 주소 상에서 연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캐시의 효율이 나쁘고, 아주 적은 데이터가 있을때의 메모리 오버헤드가 있다.(개방주소법과 비교해서)
- 또 Traverse를 할 때 최악의 경우에는
O(n)
의 시간복잡도를 보인다.
- Tree
- 연결리스트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것으로 연결리스트가 아닌 Tree 구조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 단, Tree에서도 데이터가 편향되게 들어오면
O(n)
의 시간복잡도를 가질 수 있으니 Red-black Tree와 같은 Balanced Binary Tree를 사용함으로써O(logn)
의 연산을 보장시킨다. - 하지만 적은 데이터 수에서 RB Tree를 유지하는데 드는 메모리 사용량이 연결리스트보다 크니, 적은 수의 데이터보다는 어느정도 데이터가 들어왔을때 연결리스트에서 트리로 전환한다.
- Java 8에서부터는 데이터가 8개가 넘어가면 트리로 전환하고, 6개가 되면 다시 연결리스트로 전환한다. 두개의 차이가 2가 나는 이유는 데이터의 잦은 삽입,삭제로 1개단위로 전환하게 되면 오버헤드가 더 크기 때문에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것이다.
- AVL 트리도 균형이진트리인데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hashtable 같은 경우 데이터의 조회만 intensive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AVL 트리를 사용하면 rotation과 같은 balance를 유지하는데 드는 오버헤드가 너무 크다.
- 이에 반해 RB 트리는 조금 더 느슨하게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조회,삽입,삭제에 평균적으로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때문에 hashtable의 내부 자료구조로 사용되는 것이다.
장점과 단점
분리연결법은 load factor에 크게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개방주소법에서 load factor가 커지면 성능이 기하급수적으로 나빠지는것에 비해서
분리연결법은 조금 linear한 나쁜 성능을 보여준다.
또 개방주소법에서는 hash table의 resize가 필연적으로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은 O(m) , (m은 key의 개수)
의 시간복잡도를 요구하니 꽤 치명적이다.
하지만 분리연결법에서는 하나의 버킷에 대해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테이블의 확장이 개방주소법보다는 더디게 일어나는 편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개방주소법에서 버킷들의 캐시 효율이 좋은 반면 분리연결법은 링크드리스트나 트리를 이용하기에 캐시의 효율이 좋지 않다.
해시 테이블 자체의 단점
데이터가 pseudo-random 위치에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정렬된 순서로 접근하는 것에 있어서 엄청난 비용이 발생한다. Self-balancing binary tree와 같은 자료구조에서는 O(logn)
의 조회를 보장해 조금 느리고 구현이 더 복잡하지만 데이터는 정렬되어 있다.
또 데이터를 loop하면서 traverse하는 능력도 떨어지는데, 데이터가 흩뿌려질(산재된) 확률이 높은 해쉬테이블의 특성상 빈 슬롯도 모조리 체크해가면서 순회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해시 테이블은 지역참조성에 취약한데, 해시 테이블의 조회 자체가 버킷들을 건너띄면서 확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캐시 미스를 발생시키고 이는 오버헤드로 이어진다. 데이터가 적고 type이 간단한(Integer...) 경우에는 배열을 이용한 자료구조가 더 나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